반응형

안녕하세요. 이번엔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 스택/큐 - 탑] 문제를 풀어보았습니다.

 

문제 링크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8

 

코딩테스트 연습 - 탑 | 프로그래머스

수평 직선에 탑 N대를 세웠습니다. 모든 탑의 꼭대기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를 설치했습니다. 발사한 신호는 신호를 보낸 탑보다 높은 탑에서만 수신합니다. 또한, 한 번 수신된 신호는 다른 탑으로 송신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높이가 6, 9, 5, 7, 4인 다섯 탑이 왼쪽으로 동시에 레이저 신호를 발사합니다. 그러면, 탑은 다음과 같이 신호를 주고받습니다. 높이가 4인 다섯 번째 탑에서 발사한 신호는 높이가 7인 네 번째 탑이 수신하고, 높이가 7

programmers.co.kr

저의 풀이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Input : 각 탑의 높이를 기록한 배열
* Output : 해당 위치의 신호를 수신한 탑의 위치를 기록한 배열

1. 오른쪽부터 하나씩 뽑는다.
2. 해당 인자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해당 인자보다 높은 탑을 찾는다.
  2-1) 타겟 높이를 기록한다. 
  2-2) 하나씩 index를 왼쪽으로 가면서 타겟 높이와의 높이값을 비교한다
3. 높은 탑을 찾으면 answer에 기록한다.

 

뭐 난이도가 2인만큼 푸는건 어렵지 않지만 언제나 느끼듯 기본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쉽게 푸시는 분들이 참 많은 것 같아요. 더 간단한 답을 원하시면 range()함수를 한번 활용해보세요!

 

반응형
반응형

이번 문제는 [프로그래머스 - 코딩테스트 - 스택/큐 - 프린터] 문제입니다.

 

문제의 규칙은 아래와 같습니다.

 

* INPUT : 인쇄 대기목록, 목표문서의 Index

* Output : 목표문서의 출력 순서

 

 


1. 인쇄 대기목록의 가장 앞에 있는 문서(J)를 대기목록에서 꺼냅니다.

2. 나머지 인쇄 대기목록에서 J보다 중요도가 높은 문서가 한 개라도 존재하면 J를 대기목록의 가장 마지막에 넣습니다. 3. 그렇지 않으면 J를 인쇄합니다.


좀 더 고차원적으로 생각하여 문제를 풀어보고자 하였지만 답을 찾을 수 없어서...

그냥 주어진 문제 그대로 구현하였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번엔 스택/큐의 쇠막대기 문제 풀이입니다.(사실 저는 문제를 풀지 못했습니다..)

 

스택/큐에 관한 간단한 소개와 코드 설명입니다.

 


* Stack과 Queue

1) Stack : LIFO의 데이터 구조, 이름 그대로 데이터를 순서대로 쌓는다. 데이터를 추출(삭제)할 때는 맨 위에서부터(마지막에 들어간 데이터) 뽑는다.


2) Queue : FIFO의 데이터 구조, 한쪽에서는 데이터의 삽입만, 한쪽에서는 데이터의 추출(삭제)만 가능하다.

 

https://gohighbrow.com/stacks-and-queues/

 

 

문제 링크 :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585

 

코딩테스트 연습 - 쇠막대기 | 프로그래머스

여러 개의 쇠막대기를 레이저로 절단하려고 합니다. 효율적인 작업을 위해서 쇠막대기를 아래에서 위로 겹쳐 놓고, 레이저를 위에서 수직으로 발사하여 쇠막대기들을 자릅니다. 쇠막대기와 레이저의 배치는 다음 조건을 만족합니다. - 쇠막대기는 자신보다 긴 쇠막대기 위에만 놓일 수 있습니다. - 쇠막대기를 다른 쇠막대기 위에 놓는 경우 완전히 포함되도록 놓되, 끝점은 겹치지 않도록 놓습니다. - 각 쇠막대기를 자르는 레이저는 적어도 하나 존재합니다. - 레이저는 어

programmers.co.kr

저의 접근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목표 : 주어지는 String의 처음부터 끝까지 각 괄호의 짝을 찾고, 그 안의 레이저 수를 구해서 쪼개지는 막대기의 수를 구한다.

 

# 방법 : 

1. 레이저를 의미하는 '()'는 모두 '.'으로 replace한다.

2. 막대기의 시작을 의미하는 '('를 찾고, 시작과 Match되는 막대기의 끝 ')' 을 찾는다. 

3. 막대기의 시작과 끝 사이의 레이저 수를 세서 쪼개지는 막대기의 수를 구한다.

→ 2,3번의 기능을 하는 것이 count_pieces()함수입니다.

4. 쪼개진 막대기의 총합(count)을 구한다.

 

결과적으로 테스트 케이스 20개 중에서 19개는 성공했지만, 1번은 통과하지 못했습니다. 도저히 이유를 모르겠어서 답을 보고 말았는데, 아직도 안되는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신박한 답들이 많으나 꼭 자신만의 답을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저는 못했..)

반응형
반응형

유명한 국내 코딩 문제 사이트로는 백준, 프로그래머스가 있습니다.

우선 1차 목표로 프로그래머스의 코딩테스트 문제들을 풀어볼 예정입니다.

 

코딩테스트 # 해시 문제 4번


장르 별로 가장 많이 재생된 노래를 두 개씩 모아 베스트 앨범을 만들어라.
주어지는 데이터 : genres[], plays[]

genres[] : i번째 노래의 장르
plays[] : i번째 노래의 play 수

규칙
1. 속한 노래가 많이 재생된 장르를 먼저 수록합니다.
2. 장르 내에서 많이 재생된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3. 장르 내에서 재생 횟수가 같은 노래 중에서는 고유 번호가 낮은 노래를 먼저 수록합니다.

* 장르에 속한 곡이 하나라면, 하나의 곡만 선택합니다.

 

베스트 앨범에 들어갈 노래의 고유 번호를 순서대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세요. 

 


#문제풀이


→ 필요한 것 : 장르별 재생횟수 및 순서, 장르 내 재생횟수가 많은 순서


주어진 데이터(genres[], plays[])는 Direct Addressing Table 방식으로 정리되어 있다. 

ex) genres = ["classic", "pop", "classic", "classic", "pop"]       plays = [500, 600, 150, 800, 2500]

 

1. 장르 종류를 파악하여 이를 저장하는 배열을 만든다.

→ ex) ['classic', 'pop']

  -classic은 0번, pop은 1번으로 활용한다.

 

2. 장르별로 배열을 만든 뒤, 각 장르 배열에 [곡 번호, 재생 횟수]를 저장한다.  

→ ex) [[[0, 500], [2, 150], [3, 800]], [[1, 600], [4, 2500]]]

  classic을 뜻하는 0번째 배열에는 3개 곡의 [곡 번호, 재생 횟수]가, pop을 뜻하는 1번째 배열에는 2개 곡의 [곡 번호, 재생 횟수]가 저장된 것을 볼 수 있다.

 

3. 2번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장르별 재생 횟수도 모두 합하여 별도의 배열에 저장한다. 

→ ex) [[0, 1450], [1, 3100]]

  [장르 번호, 총 재생횟수] 순으로 저장한다. classic 곡들은 총 1450번, pop 곡들은 총 3100번 재생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4. 장르별 배열을 재생횟수 순으로 정렬한다.

→ ex) [[[3, 800], [0, 500], [2, 150]], [[4, 2500], [1, 600]]]

 

5. 장르별 총 재생횟수를 정렬한다.

→ ex) [[1, 3100], [0, 1450]]

총 재생횟수가 높은 장르의 순서는 1(pop), 0(classic)으로 정렬되었다.


6. 재생횟수가 많은 장르별로 2개씩 뽑아 인덱스로 이루어진 리스트 만든다.

→ ex) [4, 1, 3, 0]

이 때 각 장르 배열별로 2곡씩만 뽑아야하며, 1곡만 있는 장르의 경우 1곡만 담아야 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필요하시면 댓글로 말씀해주시면 부족한 코드라도 보내드리겠습니다.


* 해쉬

임의의 크기를 가진 데이터를 고정된 데이터의 크기로 변환시키는 것.
기존 자료구조 -> 탐색이나 삽입에 선형적인 시간이 걸림
해쉬 : 탐색이나 삽입 시 위치를 바로 찾을 수 있음

* 해쉬 방식

1. Direct Addressing Table : (Key - Value) 쌍의 데이터 중의 Key 값을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한다. Key 값이 400인 값이 존재한다면, 400 이전의 값들은 모두 Null 처리하고, 인덱스가 400
인 곳에 Value값을 저장할 수 있다. 단점은 저장을 위해 할당되는 배열의 크기가 Key 값의 최대값과
일치한다는 점이며, (Key - Value)쌍의 데이터가 적을 경우 공간이 낭비될 확률이 높다.

2. Hash Table : Key값을 함수를 통해 계산을 수행한 후, 그 결과값을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한다.
H(k)라는 해쉬 함수를 만든 후, Key 값을 넣어서 결과값인 H(k)를 배열의 인덱스로 사용한다. H(k)
값은 0부터 배열의 크기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H(k)를 k의 해쉬값이라고 한다. Direct Addressing
Table에 비해 공간 낭비가 적지만, h(k)값이 중복(충돌)될 수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 Chaining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반응형

+ Recent posts